반달가면 이글루에서 백업 - http://bahndal.egloos.com/599114 (2017.5.30)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종종 사용하기에 정리해 두기로.
adduser 명령으로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당연히 루트(root) 권한을 필요로 한다. 아래의 예시를 보자.
# 사용자 계정 user1 생성
sudo adduser user1
위와 같이 입력하면 사용할 암호, 부가 정보(이름 등) 설정을 거쳐 user1 계정이 생성될 것이다. 기본 설정을 좀 바꾸고 싶다면 옵션을 추가해 주면 되겠다.
# 사용자 계정 user2 생성, 홈 디렉토리는 /home/test_users/user2/
sudo adduser --home /home/test_users/user2/ user2
# 사용자 계정 user3 생성, 홈 디렉토리는 /home/test_users/user3/, 소속 그룹은 test_users, shell은 /bin/bash
sudo adduser --home /home/test_users/user3/ --ingroup test_users --shell /bin/bash user3
만약 계정은 일단 지금 만들어 놓지만 당장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disabled-login 옵션을 사용한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생성과정에서 암호를 설정하지 않는다.
# 사용자 계정 user4 생성, 로그인 비활성화
sudo adduser --disabled-login user4
위와 같이 생성한 user4 계정을 사용해야 할 시점이 되면 암호를 설정해 주면 그 때부터 사용 가능하다.
# 사용자 계정 user4 암호 설정
sudo passwd user4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고 싶을 때는 deluser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 사용자 계정 user1 삭제
sudo deluser user1
위와 같이 별도의 옵션을 주지 않을 경우 계정은 삭제되지만 해당 계정의 홈 디렉토리는 남아 있다. 홈 디렉토리까지 삭제하려면 --remove-home 옵션을 추가한다.
# 사용자 계정 user2 삭제, 홈 디렉토리도 같이 삭제
sudo deluser --remove-home user2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xxd - 리눅스에서 16진수를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 (0) | 2023.08.02 |
---|---|
xxd - 리눅스에서 바이너리 파일 내용을 16진수로 출력하기 (0) | 2023.08.02 |
lsof - 리눅스에서 현재 열려 있는 파일 목록 보기 (0) | 2023.08.01 |
리눅스에서 exFAT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기(데비안/우분투 계열) (0) | 2023.08.01 |
xpstopdf - 리눅스에서 xps 파일을 pdf로 변환 (0)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