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2025. 4. 20. 13:45

 

반달가면 이글루에서 백업 - http://bahndal.egloos.com/573337 (2016.2.10)

 


셀레스트론 C90 망원경을 이용해서 하늘을 볼 때, 먼저 망원경 옆에 부착된 보조 망원경인 파인더 스코프(finder scope)를 이용해서 관측 대상 천체를 지향한 후에 망원경의 아이피스를 통해 관측을 하게 된다.

그런데 파인더 스코프와 망원경이 제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았다. 파인더 스코프로 별을 하나 찾은 후에 아이피스를 보면 별은 없고 그냥 검은 하늘만 보인다. -_-; 망원경 시야각이 좁다 보니 아이피스를 보면서 천체를 찾기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

천체망원경 초보자의 길은 험난하구나 좌절하면서 파인더 스코프가 무용지물이라고 생각했으나...

약간의 관찰로 방법을 찾아냈다! 파인더 스코프를 보니까 망원경에 장착하기 위한 은색 나사 외에 스코프를 감싸고 있는 세개의 검은색 나사가 눈에 띄었다. 이걸 돌려 보니 스코프의 방향이 미세하게 움직인다. 오호라 바로 이것이군! 망원경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사전 지식 없이 무작정 망원경을 지른 나에게 문제가 있었구나;

별을 이용해서 정렬하기는 아무래도 좀 힘들고, 낮에 멀리 떨어진 물체를 보면서 정렬하면 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절대로 이걸로 태양을 보면 안된다. 장님이 될 수도 있다.) 망원경을 삼각대에 올린 상태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 물체를 지향하고 초점을 맞춘다. 그 상태로 삼각대를 고정한 후에 파인더 스코프를 보면서 세개의 검은색 나사를 천천히 돌리면서 조정해 준다. 망원경 아이피스로 보았을데 가운데 부분이 파인더 스코프의 십자선 가운데에 오도록 해 주면 된다.

이제 파인더 스코프를 통해서 관측할 천체를 찾으면 망원경 아이피스에서도 해당 천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오늘, 남동쪽에 떠오른 목성을 보는데 성공했다! 목성 표면의 갈색 줄무늬 2개를 구별할 수 있고 주변에 떠 있는 위성 3개도 보았다. 굉장하구나!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