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구입한 싱글 보드 컴퓨터(SBC) 오드로이드 M1S를 파일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2280 크기의 NVME SSD를 장착했다. M1S는 보드 뒷면에 NVME 슬롯이 하나 있다.
구입한 SSD 제품은 패트리어트(Patriot)라는 회사에서 나온 P300 2TB 모델이다. 3D TLC 메모리를 사용한 제품이고 A/S 기간도 5년이길래 괜찮은 것 같아서 선택했다. 한가지 조금 걱정했던 것은 M1S와 혹시라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면 어쩌나 했었는데 다행히 인식도 잘 되고 문제 없이 동작하는 것 같다.
SSD를 장착하고 전원을 켜서 아래와 같이 작업을 진행했다. 운영체제는 오드로이드 제조사(하드커널)에서 제공하는 우분투(ubuntu) 리눅스 20.04 LTS이고, 터미널창에서 작업.
먼저 nvme 기기가 제대로 인식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dev/ 디렉토리에서 찾으면 된다.
ls /dev/ | grep nvme
nvme0n1이라는 기기를 확인. 이제 루트 권한으로 parted를 이용해서 파티션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 parted 실행
sudo parted /dev/nvme0n1
parted를 실행하면 프롬프트가 (parted)로 바뀐다. 일단 인식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print 명령으로 기기 정보를 출력
(parted) print
SSD는 제대로 인식이 잘 되었는데 "/dev/nvme0n1: unrecognized disk label"이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파티션 테이블(partition table) 종류가 설정되지 않았으므로 지정해 주어야 한다. msdos 또는 gpt를 선택하면 되는데, 용량 2TB 이상은 gpt를 선택하면 된다. mklabel 명령으로 설정.
(parted) mklabel gpt
이제 mkpart 명령으로 파티션을 생성한다. 2TB 공간을 분할하지 않고 통째로(0%부터 100%까지) 하나의 파티션으로 만들었다. 파일 시스템은 ext4로 지정.
(parted) mkpart primary ext4 0% 100%
print 명령으로 다시 한번 상태를 확인하고 parted 종료
(parted) print
(parted) quit
파티션 생성이 완료되었으므로 /dev/ 디렉토리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본다.
ls /dev/ | grep nvme
nvme0n1p1이 새로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파티션을 ext4 형식으로 포맷을 해준다.
sudo mkfs.ext4 /dev/nvme0n1p1
이제 원하는 디렉토리에 마운트해 주면 작업 완료. /ssd 디렉토리를 만들고 여기에 마운트해 주었다.
sudo mkdir /ssd
sudo mount /dev/nvme0n1p1 /ssd
smartmontools 패키지를 설치하고 SSD 상세 정보를 확인. 별 이상 없이 잘 동작하는 듯하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martmontools
sudo smartctl -a /dev/nvme0n1p1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ux 실행창 크기 변경하기 (0) | 2025.03.04 |
---|---|
리눅스 wget에서 다운로드 중단된 파일을 이어서 받기 (0) | 2025.02.23 |
리눅스 ollama 웹서버 포트 번호 변경 (0) | 2025.02.17 |
리눅스에서 ollama AI 모델(LLM) 저장 디렉토리 변경 - 2 (systemd 서비스에 환경 변수 지정) (0) | 2025.02.14 |
ollama 리눅스 버전 오프라인 설치 (1)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