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_잡동사니2014. 4. 7. 22:59
728x90


배트맨: 아캄 수용소(Batman: Arkham Asylum)가 엔비디아 GPU에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 같은데, AMD 라데온(Radeon) GPU와는 호환성 문제가 있는 듯.


게임을 실행하면 곧바로 오류가 발생하고 아예 타이틀 화면도 볼 수 없다. KERNELBASE.dll 관련 오류라고 나오는데, 알고 보니 출시 버전에 뭔가 버그가 있었던 모양이다. 버전 1.1로 패치하면 해결되는구나.


아래의 링크로 가서 받은 후, 압축을 풀고 setup.exe를 실행시켜서 설치하면 된다.

Batman: Arkham Asylum v1.1 patch (gamershell.com)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
게임_잡동사니2014. 3. 29. 18:44
728x90
   


다크 소울 2(Dark Souls 2) 프롤로그 동영상






콘솔 버전 출시: 3월 14일

PC 버전 출시: 4월 25일  예정


PC 시스템 요구 사양


최소 사양

윈도우XP SP3

AMD 페넘2 X2 3.2GHz 또는 인텔 코어2듀오 E8500

2GB RAM

NVIDIA 지포스 9600GT 또는 AMD 라데온 HD 5870

14GB HDD 공간


권장 사양

윈도우7 SP1

AMD A8 3870K 또는 인텔 코어i3 2100

4GB RAM

NVIDIA 지포스 GTX465 또는 AMD 라데온 HD 6870

14GB HDD 공간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
잡동사니2014. 3. 2. 21:06
728x90



AMD 라데온 GPU를 장착한 윈도우PC 처음부터 대략의 순서를 정리해 놓기로.



1. 기초 준비

일단 라이트코인 지갑이 필요하므로, 라이트코인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윈도우용 클라이언트를 받아서 설치.
https://litecoin.org/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지갑 주소(litecoin address)가 생성된다. 실행창에서 "Receive" 항목을 클릭하면 주소를 볼 수 있다. 






2. 채굴연합/마이닝풀(mining pool) 가입

채굴연합에 가입하자. 라이트코인 마이닝풀 중에는 LTC래빗(ltcrabbit.com)을 추전. 이유는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LTC래빗 페이지로 가서 REGISTER 항목을 선택하면 가입이 진행된다. ID, 암호(두번 입력), 이메일(두번 입력), PIN번호(네자리 숫자. 설정 변경할 때 필요한 암호) 등을 입력해서 계정을 만든다.

로그인한 후에 MY ACCOUNT -> ACCOUNT SETTING 항목으로 가서 Payment Address에 라이트코인 지갑 주소를 입력. 수익이 얼마 이상 될 때 자동으로 출금하도록 하기 위해 Automatic Payout Threshold 설정(최소값은 1이다)

MY ACCOUNT -> MY WORKERS 항목으로 가서 New Worker 생성.  여기에서 생성한 worker 이름과 암호가 채굴 프로그램 cgminer에 옵션으로 들어간다.


3. cgminer 실행

아래의 첨부파일을 받아서 압축을 푼다.

cgminer-2.11.4-windows.zip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와 같이 차례로 입력해서 실행한다. 배치(batch) 파일로 만들어 두면 편리하다.

setx MAX_GPU_ALLOC_PERCENT 100
setx GPU_USE_SYNC_OBJECTS 1
cgminer.exe --scrypt -o stratum+tcp://eu.ltcrabbit.com:3333 -u john.user -p password --thread-concurrency 8192 -I 13


위의 예시는 LTC래빗에 john이라는 ID로 가입해서 worker 이름을 john.user로 생성하고 암호를 password로 정한 것이다. 서버는 eu.ltcrabbit.com을 선택했다.

--thread-concurrency 옵션은 보통 1024의 배수로 정하는데, GPU에 따라 적정값이 다르다. 라데온 5770은 2560, 라데온 7850은 8192 정도 선택하면 무난한 듯.


-I 옵션은 GPU에 얼마나 부하를 걸 것인가를 정하는 것인데 너무 높으면 GPU 자원이 모두 채굴에 몰려서 화면 반응이 엄청나게 느려지므로 적당한 선을 찾아 보자. 13에서 14가 무난한 듯.

cgminer thread-concurrency 설정값은 바꿔가면서 최적값을 찾아야 한다. 에러 메시지가 없이 "Accepted" 메시지가 계속 나오면서 hash값이 높으면 좋은 것이다.



집에서 재미로 할 것이라면, 전기요금에 유의하자. 전기요금 문제에 대한 내용은 이글루스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채굴한 라이트코인을 현금화하고 싶다면 땡글(www.ddengle.com)의 라이트코인 거래소를 이용하면 될 듯.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
잡동사니2014. 3. 1. 14:39
728x90
   

정착하기 전까지 시험해 본 라이트코인 채굴연합(마이닝 풀)은 3개였다. 코이노트론(coinotron), 위마인LTC(wemineltc), LTC래빗(ltcrabbit).

코이노트론(coinotron): PPS, 풀 수수료(pool fee)  3.5%, 출금 수수로 0.03LTC

위마인LTC(wemineltc): PPLNS, 풀 수수료 없음, 출금 수수료 0.1LTC

LTC래빗(ltcrabbit): PPS, 풀 수수료 2%, 출금 수수료 0.002LTC


위마인LTC는 풀 수수료가 없지만 출금 수수료가 높고 라이트코인 적립 방식이 PPLNS라 수익의 기복이 있는 듯하다. PPLNS는 블록을 찾은 시점에서 마지막 N개의 share에 대해 적립하는 방식이라 hash rate가 높지 않으면 PPS 방식이 훨씬 나은 듯. 그래서 가장 먼저 제외.

코이노트론과 LTC래빗을 비교해 보면 수수료 측면에서 LTC래빗이 더 유리하다. 안정성 등은 크게 차이가 없는 듯.

그래서 LTC래빗으로 정착.

www.ltcrabbit.com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