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라데온 GPU를 장착한 윈도우PC 처음부터 대략의 순서를 정리해 놓기로.
1. 기초 준비
일단 라이트코인 지갑이 필요하므로, 라이트코인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윈도우용 클라이언트를 받아서 설치.
https://litecoin.org/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지갑 주소(litecoin address)가 생성된다. 실행창에서 "Receive" 항목을 클릭하면 주소를 볼 수 있다.

2. 채굴연합/마이닝풀(mining pool) 가입
채굴연합에 가입하자. 라이트코인 마이닝풀 중에는 LTC래빗(ltcrabbit.com)을 추전. 이유는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LTC래빗 페이지로 가서 REGISTER 항목을 선택하면 가입이 진행된다. ID, 암호(두번 입력), 이메일(두번 입력), PIN번호(네자리 숫자. 설정 변경할 때 필요한 암호) 등을 입력해서 계정을 만든다.
로그인한 후에 MY ACCOUNT -> ACCOUNT SETTING 항목으로 가서 Payment Address에 라이트코인 지갑 주소를 입력. 수익이 얼마 이상 될 때 자동으로 출금하도록 하기 위해 Automatic Payout Threshold 설정(최소값은 1이다)
MY ACCOUNT -> MY WORKERS 항목으로 가서 New Worker 생성. 여기에서 생성한 worker 이름과 암호가 채굴 프로그램 cgminer에 옵션으로 들어간다.
3. cgminer 실행
아래의 첨부파일을 받아서 압축을 푼다.
cgminer-2.11.4-windows.zip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와 같이 차례로 입력해서 실행한다. 배치(batch) 파일로 만들어 두면 편리하다.
setx MAX_GPU_ALLOC_PERCENT 100
setx GPU_USE_SYNC_OBJECTS 1
cgminer.exe --scrypt -o stratum+tcp://eu.ltcrabbit.com:3333 -u john.user -p password --thread-concurrency 8192 -I 13
위의 예시는 LTC래빗에 john이라는 ID로 가입해서 worker 이름을 john.user로 생성하고 암호를 password로 정한 것이다. 서버는 eu.ltcrabbit.com을 선택했다.
--thread-concurrency 옵션은 보통 1024의 배수로 정하는데, GPU에 따라 적정값이 다르다. 라데온 5770은 2560, 라데온 7850은 8192 정도 선택하면 무난한 듯.
-I 옵션은 GPU에 얼마나 부하를 걸 것인가를 정하는 것인데 너무 높으면 GPU 자원이 모두 채굴에 몰려서 화면 반응이 엄청나게 느려지므로 적당한 선을 찾아 보자. 13에서 14가 무난한 듯.
cgminer thread-concurrency 설정값은 바꿔가면서 최적값을 찾아야 한다. 에러 메시지가 없이 "Accepted" 메시지가 계속 나오면서 hash값이 높으면 좋은 것이다.

집에서 재미로 할 것이라면, 전기요금에 유의하자. 전기요금 문제에 대한 내용은 이글루스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채굴한 라이트코인을 현금화하고 싶다면 땡글(www.ddengle.com)의 라이트코인 거래소를 이용하면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