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h script2023. 11. 15. 08:50

 

리눅스 bash에서 문자열의 특정 위치부터 특정 위치까지를 떼어 별도로 가져오는 방법, 즉 substring을 만드는 방법이다. 예시를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첫번째 문자의 위치가 0, 두번째 문자의 위치가 1, 이렇게 된다. 배열의 인덱스와 같은 방식이다.

my_string="abcdefg"

# 문자열의 3번째(위치 2) 문자부터 4개 문자를 가져오기
my_substring=${my_string:2:4}
echo "$my_substring"
cdef

# 문자열의 3번째(위치 2) 문자부터 끝까지 문자를 가져오기
my_substring=${my_string:2}
echo "$my_substring"
cdefg

즉, 특정 위치부터 몇개의 문자를 가져올 것인지 지정할 수 있다.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
리눅스2023. 11. 14. 09:36

우선 sshfs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기본적인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 원격 주소 my_server.com, 로그인 ID john, 원격 서버의 /home/john 디렉토리를 ~/my_sshfs 디렉토리에 연결
sshfs john@my_server.com:/home/john ~/my_sshfs

별도의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원격지의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에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심볼릭 링크에 대한 접근은 follow_symlinks 옵션을 지정하면 가능하다. 

# 심볼릭 링크 접근(-o follow_symlinks)
sshfs john@my_server.com:/home/john ~/my_sshfs -o follow_symlinks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
리눅스2023. 11. 10. 08:34

redis에서 메모리를 얼마나 점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info memory" 명령을 사용하면 되겠다.

# 메모리 사용 정보 확인
redis-cli info memory

출력 결과에서 used_memory 항목과 used_memory_rss 항목을 확인하면 된다. 단위는 바이트(byte)이고, 사람이 읽기 편하게 표시한 값은 used_memory_human과 used_memory_rss_human이다.

used_memory는 redis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의 크기다.

used_memory_rss는 redis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지만 OS로 아직 반환되지 않은 메모리다. 메모리를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기 때문에 특정 페이지 전체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야 메모리가 OS로 반환된다고 한다.

따라서, OS 입장에서 볼 때 redis가 점유하고 있는 메모리 크기는 used_memory_rss의 값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
일기_잡담2023. 11. 9. 11:19

 

"전기차는 다를 줄 알았는데…미세먼지 만만찮네"

2021년 6월 10일자 매일경제 기사다. 좀 오래된 기사이긴 한데, 지금도 상황이 크게 달라졌을 것 같지는 않다. 일부 내용을 옮겨 보자면 아래와 같다. 


...
전기차가 일반 자동차와 동일한 수준의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를 내뿜는다는 연구 결과가 학계에서 속속 나오고 있다. 배기가스는 나오지 않지만 타이어·브레이크 마모 등으로 '비(非)배기성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
이미 외국에서는 이에 대해 수년 전부터 문제 제기가 이뤄졌다. 2016년 영국 에든버러대에서 나온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 총량이 디젤·내연기관차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기가스를 내뿜지 않는 대신 그만큼의 비배기 오염물질을 더 배출하기 때문이다. 
...
2009년 부산 지역 대기오염물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대기오염물질 중 77.7%가 타이어 브레이크 마모 입자 등이 자동차 주행이나 바람에 의해 날리는 도로 날림 먼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산업도시에서 관련 대기오염물질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무거운 짐을 실은 대형 화물차 통행량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2019년 한국기계연구원은 자동차 주행 중 브레이크 마모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자동차 배기구로 배출되는 미세먼지보다 2배 이상 많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


배기가스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언뜻 보면 친환경인 것처럼 보이지만, 비슷한 크기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타이어와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많아서 결국 미세먼지 감소에는 기여하는 바가 사실상 미미하다는 얘기다.

728x90
Posted by 반달가면